2) 기후와 의복의 종류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기온이나 습도 등의 자연환경에 맞추어 제품의 스타일이나 소재의 선택이 달라진다. 여름에 착용하는 옷을 하복. 여름철 우리나라의 기후는 덥고 습도가 높다 따라서 시원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스타일과 소재의 선택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우리나라와는 달리 여름철 기후가 기온은 높지만 습하지 않은 기후에서 착용하는 하절기용 옷은 옷감의 선택이나 옷의 구성 방식이 우리나라 하복과 다르다. 봄과 가을에 착용하는 춘추복은 기후의 변화뿐만 아니라 계절의 변화에 따른 감성의 변화를 반영한 스타일의 옷이 제작된다. 봄철의 의류들은 새로운 생명의 기운이 느껴지는 봄의 느낌을 표현한 스타일과 색상, 소재의 선택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특징은 특히 여성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가을용 의류는 수확기의 성숙함과 안정적인 자연의 휴식으로 들어가는 계절적인 변화를 감성적으로 반영한 의류 스타일과 색상의 제품이 많다. 기온이 낮고, 찬 바람이 많이 부는 겨울에 착용하는 동복은 보온성이 중요시되므로 방한 기능과 방풍 기능이 우수한 옷감의 선택과 스타일의 옷이 필요하다.
3) 용도와 의복의 종류
생활환경에 따라 착용해야 하는 의복의 스타일이 다 다르다. 예를 들어 정장은 예식을 갖추어야 하는 상황에서 착용하며 일상적인 생활이나 간편한 외출 시에는 평상복을 주로 착용한다. 운동 시에는 특수 기능성이 있는 운동복을 착용한다. 이외에도 몸을 감싸는 부위에 따라 상의, 하의로 구분하기도 하며, 착용하는 옷의 순서에 따라 속옷, 겉옷으로 구분한다. 언더웨어(underwear)는 팬티는 러닝(언더그라운드) 셔츠와 같은 피부와 접촉하는 부위에 위생적인 목적을 위해 착용하는 속옷을 의미하고, 체형을 보정하는 목적으로 착용하는 의류는 '파운데이션(foundation)'으로 분류된다. 브래지어나 거들 등은 파운데이션에 속한다. 또한 겉옷과 언더웨어 사이에 입는 옷으로 겉옷이 매끄럽게 보이도록 갖추어 입는 옷을 '란제리(lingerie)'로 분류한다. 사회적인 기능에 따라 착용하는 각종 유니폼에도 사무용과 예식용으로 나뉘며, 직종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유니폼이 사용된다. 유니폼은 단체의 통일성과 기업의 이미지를 상징하는 목적으로 착 된다.
Chapter 02 [의류생산 프로세스]
1. 의류제품의 설계 요소
의복의 설계를 위해서는 제품의 물리적 특징과 맵시 있는 특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제품의 물리적인 특징이 적절하게 반영된 제품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착용자와 소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즉, 인간의 체형, 생리적 특성, 운동기능의 특성과 소재의 특성, 봉제 방법을 적절하게 조화시켜 제품을 개발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착용하였을 때 쾌적하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옷은 인체의 형태에 적합하며 운동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옷이다. 따라서 패턴 제작과 봉제 기술, 피복 재료의 합리적인 사용 방법 밑 인제 공학적 의류 제작 방법에 대한 상호 관련성과 특징에 대한 고찰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기능적인 의류의 설계를 위해서는 체온조절 능력, 순환 기능, 감각기능 등 생명을 유지하고 건강을 지켜 주는 생리적인 특징과 인체의 체형이나 자세 등의 형태적 정보 등의 반영이 필요하다. 특히 인체의 여러 가지 기능이 낮아지는 고령자나 특정 기능이 활발하지 못한 장애자, 신체 조절 능력이 아직 발달하지 못한 신생아를 위한 의복의 설계를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또한 작업복은 환경 정보 요소와 지역의 기후적 특성과 작업 환경, 인체 동작 요소도 고려해야 한다.
1) 소재 이용
패션의 변화는 실루엣의 변화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소재(옷감)를 만드는 기술의 발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듀폰이 개발한 스판덱스 소재인 라이크라(Lycra)는 몸에 밀착되는 스타일의 유행이 가능하도록 기여하였다. 이처럼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된 많은 신소재는 운동복뿐만 아니라 일상복의 스타일 변화에도 영향을 미쳐 왔다. 따라서 패턴 설계자는 직물을 구성하는 섬유의 물리적 특성 및 화학적 특성에 따른 성능의 차이, 피복 재료의 최근 개발 동향에 대한 관심과 탐구도 필요하다. 또한 쾌적한 착용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간의 생리적 특성과 피복의 상호관계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피복 위생 관련 지식도 필요하다.
2) 의류 제조 기술
의류 제조는 노동력에 의존하는 전통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작업자의 세심한 주의와 공정에 적합한 기술이 필요하다. 컴퓨터와 정보기술의 발달은 패션의 흐름을 빠르게 변화하게 하며, 또한 다양한 디자인의 개발을 가속하고 있다. 의류 제품의 생산과 유통과정에서 컴퓨터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의류 제작에 사용되는 장비도 변화하고 있다. 의류생산에서 사용되고 있는 컴퓨터 장비와 소프트웨어들은 제품의 디자인과 설계에 사용되는 CAD(Computer Aided Design), 장비와 연단 및 재단을 포함하는 생산관리를 위한 CAM(Computer Aide Manufacturing) 용 컴퓨터 프로그램과 장비 등이 있다. 최근 친환경적인 직물의 프린팅 방식으로 제안되고 있는 디지털 프린팅은 컴퓨터 기술이 기성복의 획일적인 생산 시스템을 개인적인 맞춤 생산 시스템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2. 의류제품의 제조 프로세스
소비자가 구입하게 되는 의류 제품은 다양한 생산 프로세스를 거쳐 제조된다. 디자이너가 제안한 스타일이 생산되어 소비자에게 판매되기까지는 기획 단계, 제품화 단계, 생산단계, 유통단계를 거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트렌드의 조사, 신소재 개발 정보, 소비자 수요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기획하는 기획 단계와 디자이너가 제안한 스타일을 생산하기 위해 프로세스를 검증하는 샘플 개발단계 및 재료 구입 단계, 생산단계, 물류 유통단계를 거치게 된다.
의복구성학2
2024. 8. 12. 1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