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류 걸게 영역에서 주로 이용하는 체형의 분류 방법은 제작된 옷을 착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문제점을 바탕으로 체형의 분류 방법은 제작된 옷을 착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문제점을 바탕으로 체형의 특이한 점을 파악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어깨 부위에서의 군주름 발생의 원인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솟은 어깨, 처진 어깨로 어깨 부위의 체형을 분류한다. 이외에도 목과 어깨 부위에서 발생하는 군주름을 파악하여 근육과 피하지방이 발달하지 않아 쇄골과 견봉이 드러나 보이는 여윈 어깨, 목 옆의 삼각 근육이 발달한 근육형의 어깨 등으로 나눈다.
등 부위의 특징에 따라서는 등이 밋밋한 체형, 견갑골 부위가 돌출한 체형과 목덜미 하단이 돌출한 체형으로 나눈다. 여성의 체형은 어깨와 허리, 엉덩이 부분의 비례에 따라 어깨와 허리가 균형이 잡혔으며 허리고 않은 모래시계형 체형, 어깨가 넓은 역삼각형과 엉덩이가 큰 삼각형 체형, 어깨와 허리는 균형 잡혔으나 허리가 굵은 직사각형 체형 등으로 나눈다. 또한 가슴의 발달을 유방의 크기에 따라 분류하여 브래지어의 컵 치수 등에 반영한다. 바지나 스커트의 제작 시 나타나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여성의 하반신 체형을 엉덩이가 처지고 복부는 돌출한 체형, 둔부가 돌출하고 복부는 편평한 체형으로 나눈다. 또한 허리와 골반의 모양에 따라 허리가 가늘고 허벅지가 비대한 다이아몬드형(서양 배영), 아랫배가 나오고 장골 뼈가 발달한 하트형으로 여성의 하반신 체형을 분류하기로 한다.
(3) 피하지방의 분포
체형의 특성을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골격과 근육의 발달 외에 피하 지방층의 발달 정도이다. 남성보다 여성은 피하지방 조직이 발달하여 여성 특유의 매끄러운 피부와 체형을 나타낸다. 여성은 피하지방이 축적되는 부위에 따라 체형의 다양성이 나타난다. 성인 여성의 체형에서 피하지방의 축적이 뚜렷이 나타나는 부위는 목뒤, 유방, 배, 상완 후면, 허벅지, 둔부 등이다. 전체적인 체형의 특정을 나타내는 지표로는 신체 충실 지수가 사용되고 있다. 신체 충신 지수 누는 신체의 비만 상태와 영양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으며, 신장과 체중을 기초로 계산하여 상대적인 비만도를 표시하는 지수이다. 의류학에서는 많이 사용되는 비만도 산출 방식은 로러(Rohree) 지수이다. 로러지수는 신장의 세제곱에 대한 체중이 비율을 나타내며 계측기의 단위는 체중 kg이고 신장은 cm이다.
피하지방의 발달을 근거로 성인 여성의 체형을 8개의 체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표준형(Normal) : 특정 부위가 비만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힌 체형
2. 비만형(Rubens) : 균형이 잡혀있으나 전체적으로 피하지방이 발달한 체형
3. 상체 비만형(Superior) : 상체와 허리부위에 피하지방이 발달한 체형
4. 하체 비만형(Inperior) : 엉덩이와 대퇴, 다리 부위에 피하지방이 발달한 체형
5. 체간부터 비만형(Truncic) : 가슴과 허리, 배, 엉덩이 부위의 피하지방이 발달한 체형
6. 체 지부 비만형(Extremital) : 팔과 다리가 굵은 체형
7. 유방 발달형(Mammary) : 다른 부위에 비하여 유방부위가 특히 발달한 체형
8. 대퇴 발달형(Trochanteric) : 허벅지 부위에 피하지방의 축적이 심한 체형
2. 원형 설계 방법
1) 원형 설계 방법의 종류
원형은 특별한 디자인의 특징이 없이 인체의 굴곡을 잘 나타내주는 기본형 패턴이다. 원형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인체측정 치수를 이용하여 평면으로 제도하거나, 인대(드레스폼, 보디)를 사용하여 직접 옷감으로 패턴을 만드는 방법을 사용한다. 패턴을 제도하는 방법은 인체측정 치수를 사용하여 패턴을 제도하는 평면 제도(drafting)와 인대 위에 광목이나 옷감
을 직접 재단하여 패턴을 제작하는 입체재단(draping)이 있다.
[평면 제도]
기본 원형 패턴을 이용하여 스타일이 반영된 패턴을 제도하는 방법이다. 특히 소매와 바지 패턴은 평면 제도를 주로 사용하여 제도한다. 평면 제도 방법은 기본 원형 패턴을 활용하여 다양한 스타일의 패턴으로 변형시켜 제도할 수 있으므로 생산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평면 제도로 원형을 제도하는 방법은 크게 실마린 식 제도법과 장촌 식 제도법으로 나뉜다.
*실마린 식
인체의 각 부위를 세밀하게 계측하여 원형 패턴을 제도하는 방법으로, 인체의 많은 부위를 계측하여 제도하기 때문에 개인에게 비교적 잘 맞는 원형을 제도할 수 있으나, 정확하게 인체계측을 할 수 있는 숙련된 기술이 필요한 방법이다.
*장촌 식
인체 부위 중 대표가 되는 부위의 치수(예: 가슴둘레)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부위의 치수를 비례식으로 계산해 내어 제도하는 방법으로, 대표 부위만 측정하여 제도에 적용하므로 다양한 인체치수를 측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다양한 인체측정데이터가 없어도 비교적 쉽게 원형을 제작할 수 있으나, 개인의 체형 특징이나 치수의 세밀한 정보가 반영되지 않아 제작 후 보정 과정이 필요하다.
*입체 재단
인대 위에 직접 옷감을 입혀서 재단함으로써 원하는 디자인의 패턴을 만드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오른편 패턴을 만들어서 대칭으로 뒤집어서 왼편 패턴으로 사용하므로 입체 재 입체 재단에서는 옷감의 경사 방향 올을 인대의 앞(뒤) 중심선에 맞추어 핀으로 위치를 고정해 놓고, 씨실의 방향은 가슴둘레 선과 같은 가로 방향의 기초선에 핀으로 고정해 잡은 후 나머지 부분을 핀으로 시침하여 옷의 실루엣을 형성시킨다.
입체재단은 원하는 디자인을 바로 형상화해 볼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따라서 정형화된 패턴의 모양에서 크게 벗어나는 새로운 실루엣의 스타일을 제작할 경우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유능한 패턴설계자는 평면 제도에서 습득한 기본 개념을 입체재단에도 적절히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패턴을 제작한다...
의복구성학6
2024. 8. 13. 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