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기후와 의복의 종류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기온이나 습도 등의 자연환경에 맞추어 제품의 스타일이나 소재의 선택이 달라진다. 여름에 착용하는 옷을 하복. 여름철 우리나라의 기후는 덥고 습도가 높다 따라서 시원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스타일과 소재의 선택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우리나라와는 달리 여름철 기후가 기온은 높지만 습하지 않은 기후에서 착용하는 하절기용 옷은 옷감의 선택이나 옷의 구성 방식이 우리나라 하복과 다르다. 봄과 가을에 착용하는 춘추복은 기후의 변화뿐만 아니라 계절의 변화에 따른 감성의 변화를 반영한 스타일의 옷이 제작된다. 봄철의 의류들은 새로운 생명의 기운이 느껴지는 봄의 느낌을 표현한 스타일과 색상, 소재의 선택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특징은 특히 여성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가을용 의류는 수확기의 성숙함과 안정적인 자연의 휴식으로 들어가는 계절적인 변화를 감성적으로 반영한 의류 스타일과 색상의 제품이 많다. 기온이 낮고, 찬 바람이 많이 부는 겨울에 착용하는 동복은 보온성이 중요시되므로 방한 기능과 방풍 기능이 우수한 옷감의 선택과 스타일의 옷이 필요하다.
3) 용도와 의복의 종류
생활환경에 따라 착용해야 하는 의복의 스타일이 다 다르다. 예를 들어 정장은 예식을 갖추어야 하는 상황에서 착용하며 일상적인 생활이나 간편한 외출 시에는 평상복을 주로 착용한다. 운동 시에는 특수 기능성이 있는 운동복을 착용한다. 이외에도 몸을 감싸는 부위에 따라 상의, 하의로 구분하기도 하며, 착용하는 옷의 순서에 따라 속옷, 겉옷으로 구분한다. 언더웨어(underwear)는 팬티는 러닝(언더그라운드) 셔츠와 같은 피부와 접촉하는 부위에 위생적인 목적을 위해 착용하는 속옷을 의미하고, 체형을 보정하는 목적으로 착용하는 의류는 '파운데이션(foundation)'으로 분류된다. 브래지어나 거들 등은 파운데이션에 속한다. 또한 겉옷과 언더웨어 사이에 입는 옷으로 겉옷이 매끄럽게 보이도록 갖추어 입는 옷을 '란제리(lingerie)'로 분류한다. 사회적인 기능에 따라 착용하는 각종 유니폼에도 사무용과 예식용으로 나뉘며, 직종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유니폼이 사용된다. 유니폼은 단체의 통일성과 기업의 이미지를 상징하는 목적으로 착 된다.
Chapter 02 [의류생산 프로세스]
1. 의류제품의 설계 요소
의복의 설계를 위해서는 제품의 물리적 특징과 맵시 있는 특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제품의 물리적인 특징이 적절하게 반영된 제품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착용자와 소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즉, 인간의 체형, 생리적 특성, 운동기능의 특성과 소재의 특성, 봉제 방법을 적절하게 조화시켜 제품을 개발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착용하였을 때 쾌적하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옷은 인체의 형태에 적합하며 운동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옷이다. 따라서 패턴 제작과 봉제 기술, 피복 재료의 합리적인 사용 방법 밑 인제 공학적 의류 제작 방법에 대한 상호 관련성과 특징에 대한 고찰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기능적인 의류의 설계를 위해서는 체온조절 능력, 순환 기능, 감각기능 등 생명을 유지하고 건강을 지켜 주는 생리적인 특징과 인체의 체형이나 자세 등의 형태적 정보 등의 반영이 필요하다. 특히 인체의 여러 가지 기능이 낮아지는 고령자나 특정 기능이 활발하지 못한 장애자, 신체 조절 능력이 아직 발달하지 못한 신생아를 위한 의복의 설계를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또한 작업복은 환경 정보 요소와 지역의 기후적 특성과 작업 환경, 인체 동작 요소도 고려해야 한다.
1) 소재 이용
패션의 변화는 실루엣의 변화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소재(옷감)를 만드는 기술의 발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듀폰이 개발한 스판덱스 소재인 라이크라(Lycra)는 몸에 밀착되는 스타일의 유행이 가능하도록 기여하였다. 이처럼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된 많은 신소재는 운동복뿐만 아니라 일상복의 스타일 변화에도 영향을 미쳐 왔다. 따라서 패턴 설계자는 직물을 구성하는 섬유의 물리적 특성 및 화학적 특성에 따른 성능의 차이, 피복 재료의 최근 개발 동향에 대한 관심과 탐구도 필요하다. 또한 쾌적한 착용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간의 생리적 특성과 피복의 상호관계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피복 위생 관련 지식도 필요하다.
2) 의류 제조 기술
의류 제조는 노동력에 의존하는 전통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작업자의 세심한 주의와 공정에 적합한 기술이 필요하다. 컴퓨터와 정보기술의 발달은 패션의 흐름을 빠르게 변화하게 하며, 또한 다양한 디자인의 개발을 가속하고 있다. 의류 제품의 생산과 유통과정에서 컴퓨터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의류 제작에 사용되는 장비도 변화하고 있다. 의류생산에서 사용되고 있는 컴퓨터 장비와 소프트웨어들은 제품의 디자인과 설계에 사용되는 CAD(Computer Aided Design), 장비와 연단 및 재단을 포함하는 생산관리를 위한 CAM(Computer Aide Manufacturing) 용 컴퓨터 프로그램과 장비 등이 있다. 최근 친환경적인 직물의 프린팅 방식으로 제안되고 있는 디지털 프린팅은 컴퓨터 기술이 기성복의 획일적인 생산 시스템을 개인적인 맞춤 생산 시스템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2. 의류제품의 제조 프로세스
소비자가 구입하게 되는 의류 제품은 다양한 생산 프로세스를 거쳐 제조된다. 디자이너가 제안한 스타일이 생산되어 소비자에게 판매되기까지는 기획 단계, 제품화 단계, 생산단계, 유통단계를 거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트렌드의 조사, 신소재 개발 정보, 소비자 수요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기획하는 기획 단계와 디자이너가 제안한 스타일을 생산하기 위해 프로세스를 검증하는 샘플 개발단계 및 재료 구입 단계, 생산단계, 물류 유통단계를 거치게 된다.
분류 전체보기
의복구성학2
의복구성학1
Chapter 01 [의복의 기능과 종류]
1. 의복 착용의 목적
인류는 자연환경과 사회 문화적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옷을 착용하여 왔다. 옷을 착용한 일차적인 목적은 춥거나 덥거나 건조하거나 습한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건강을 유지하게 해주는 생리적인 보호의 기능이었다. 또한 옷은 착용자의 사회적인 지위나 부를 표현하는 도구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1) 신체 보호 기능
의복을 구성하는 소재의 선택이나 제작 방법은 자연환경 기후 특성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자연환경에 적응하고 주어진 환경 속에서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의복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추운 지방에서는 체온의 유지를 위한 방한의 기능을 갖춘 옷이 발달했지만 높고 건조한 열대기후의 지방에서는 강한 태양열과 건조함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스타일의 옷이 착용되었다. 최근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의 여름철 기후고 기후로 변화함에 따라 하절기 의류 수요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외에도 재해나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소방복, 잠수복, 우주복, 방사선 방호복은 특수한 환경이나 위험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장비와 같은 기능을 가진 옷이다. 이러한 작업복들은 일반적으로 착용 후 열적 쾌적성이 크게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는 열적 스트레스를 규명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이외에도 각종 전문 운동복은 신체의 운동 기능성과 쾌적성을 높여줄 수 있는 설계 방법과 자외선 차단 기능성 소재의 사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2) 사회적 가치관을 나타내는 기능
개인이 착용하는 옷은 사회환경 또는 장소에 어울리며, 자기를 아름답게 표현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따라서 회복의 스타일은 그 시대를 대표하는 사상이나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로 발전되어 왔다. 예를 들어 여성들의 신체를 억압적으로 조이는 코르셋으로부터의 해방을 여성해방의 상징으로 인식하였던 1920년대의 여성복의 실루엣은 허리가 밋밋한 H 실루엣이 유행하였다. 현대에는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이 이나 개인이 처한 사회적인 역할이나 기능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의 의복을 착용한다. 예를 들어 남성 정장은 비즈니스를 위한 옷으로 인식이 되므로 '비즈니스 슈트'로 명명하기도 하며, 직장으로 설들을 위한 스타일의 옷은 '커리어 웨어'로 명명하기도 한다.
3) 심미적 감성 표현 가능
패션디자이너는 자신의 예술적인 독특한 아이디어를 옷의 스타일에 반영한다. 옷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도구이자 개인의 심미적 만족을 충족시킬 수 있는 도구이다. 추상적인 디자인 의도를 구체적인 형태를 가진 옷으로 개발하는 학문인 의복 구성 학에게서는 옷을 제작하는 방법을 미적인 측면이나 기능적인 측면에서 연구한다. 예를 들어, 1968년 밀리 숀이 디자인한 드레스코트는 단순한 구성을 이용하였고, 옷을 통해 그래픽디자인을 표현하는 현대적 감성을 보여준다. 이 작품은 평면적인 느낌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단순한 재단과 솔기 부분의 바느질을 정교하게 처리한 것을 볼 수 있다.
2. 의복의 종류
의복의 종류는 착용자의 성별에 따라 여성복과 남성복으로 나뉘며, 연령에 따라 유아복이나 아동복, 청소년용 의류, 노인용 의류 등으로 분류된다. 또한 의복을 착용하는 목적이나 용도, 의복을 제작하는 방법, 의복 착용 부의, 계절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용도에 따라서는 일상생활에서는 착용하는 일상복, 예절을 갖추는 목적으로 착용하는 예복,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신체를 작업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작업복, 스포츠 활동을 안전하게 수행하는 목적을 만족시키고 기록을 향상하는 기능을 높이기 위한 운동복, 일상을 벗어나 즐기는 레저활동에 적합한 편안함을 강조하는 여가옷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의복을 제작하는 방법에 따라서는 재단의 복잡함이나 바느질의 난이도에 따라서 종류를 나눌 수 있으며, 착용법 등에 따라서도 의복의 종류가 분류된다. 이외에도 착용하는 순선에게 따라 속옷(언더웨어)과 겉옷(겉옷)으로 수반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의 증가와 여가생활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져 이러한 생활을 변화에 따라 스포츠의류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일상복의 스타일도 스포티한 스타일을 반영하는 추세를 가지고 있다. 이외에도 장애인을 위한 의복이나, 임산부를 위한 임부복, 극한의 열적 환경에서 착용하는 소방복, 해저의 환경에서 착용하는 잠수복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연령에 따른 의복의 종류가 가장 다양한 복종은 유아복과 아동복이다. 유아복은 신생아부터 젖먹이 어린이를 하나의 집단으로 보는 복종이며, 이들의 생활 특성을 반영하여 누운 자세에서 편안한 스타일과 기저귀를 교환하는데 편안한 구성적인 고려가 이루어진다는 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근에는 아동복 수요의 세분화에 따라 유아원을 다니는 연령에 적합한 토들러 복과 아동복과 성인복의 특성을 모두 갖춘 주니어복이 추가되었다.
1) 의복 구성 방식과 의복의 종류
의복은 구성 방법과 제작 방법에 따라 종류를 나눌 수 있다. 가장 간단한 의복 구성 기술을 욕구하는 의복의 종류는 특별한 옷본의 사용이나 재단하지 않고 옷감 자체를 몸에 두르는 방식으로 착용하여 옷감이 몸의 선을 따라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하여 착용하는 빙 성형의 복이다. 약간의 바느질이나 간단한 재단을 활용하여 만들어진 의복은 직선의 재단 방식이 사용되는 반성형의 복이다. 가장 높은 기술 수준을 요구하는 의복은 인체 각 부위의 체형 특성이나 동작에서 필요한 운동 기능성을 반영한 옷본을 이용하여 옷감을 재단하여 옷을 만드는 성형 의복이다, 성형 의복은 옷의 여유분, 옷감의 신축성 정도에 따라 옷본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서양 의복 구성에서 다루는 내용은 성형 의복의 구성 방법이 대부분이다.